baby-육아정보- 우리아기는 모유먹어요

모유에 대한 궁금증 모음 - 수유증 경험

뱅베 2025. 6. 20. 10:07

유두 동통,유방울혈,유선염,모유황달등이 있습니다.

1.유두 동통

모유 수유를 할경우 첫 수일 동안 가벼운 유두 동통을 경험할수있습니다.

비어 있는 유선관에 음압이 형성되어 유두 동통이 발생하며,수유를 시작할때에 통증이심하지만, 30초 -1분동안 지속되다가 점점 감소하고, 합병증이 없으면 유두동통은 가볍고 일시적인 것이 보통입니다.

2. 유방울혈

초기에 유즙이 분비되는 시기에 혈류와 림프액이 증가하여 유방이 커지면서 단단해지는 것을 말하는데 열이나며 통증을 동반하게되며, 분만 2-7일째에 주로 발생합니다.

유방을 잘 비워 주지 않았거나 불규칙적으로 수유하였을때 발생하며, 수유간격이 길어지면 유방전체에 전반적으로 유방울혈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유방울혈은 자주 수유시키거나(하루8-12회이상)손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짜주면 쉽게 해결되며, 울혈이 생겼을때도 지속적으로 수유를 계속하는것이 좋고, 울혈이 완화되면 유방은 부드럽게 됩니다.

따뜻하게 습포를하거나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면 유즙의 흐름이 원활해지만, 울혈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냉찜질을 하면 좋아집니다. 울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기가 젖을 먹으려 할때마다 젖을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3. 유선염

1) 잘못된 수유방법에 의해 유두에 상처를 입은경우입니다.

2) 브레지어나 옷이 꽉끼어 유선에 압박이 가해진경우입니다.

3) 수유시 유방을 완전히 비우지 않아서 유방울혈이 생긴 경우입니다.

이와같이 이차적인 감염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열과 전신 동통이 흔한 증상입니다.

유방에 홍반이 나타나고 만지면 따뜻하며 압통이 있으며, 체온은 섭씨 38도 이상 오르고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대개는 한쪽에 발생합니다.

치료는 젖을 자주 말리고 완전히 잘 비우고 항생제 치료를 하며, 유선염이 있더라도 계속 수유를 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4.모유황달

1) 모유황달이 나타나는 시기

모유수유 중인 만삭아 2%에서는 생후 4-7일 째부터 생기기 시작하여, 생후 2-3주째 제일 심하게 나타납니다.

계속 수유하여도 서서히 좋아지지만, 1-2일 모유를 중단하면 급격히 좋아지고 다시 모유를 먹여도 황달이 다시 심해지지 않습니다. 러한 모유황달은 생후 첫주에 나타나는 조기 모유 황달과는 다릅니다.

조기 모유황달은 모유수유가 충분치않아 생긴 탈수나 칼로리 섭취 감소 때문에 발생합니다.

2) 모유황달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출생후 되도록 빨리 모유수유를 시작하며, 모자동실을 시켜 밤에도 수유시키는 것이 조기모유황달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모유 유아에게 물이나 포도당액을 보충하면 모유섭취가 감소되어 오히려 황달이 심해질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