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12~15개월 >> 신체적 변화/발달
▣ 이 시기의 신체적 변화 및 발달은
1. 신체
키와 몸무게가 서서히 증가하고, 머리둘레 48㎝, 몸무게 11kg, 키 78.7㎝
2. 전체운동
혼자 걷기, 계단 기어 오르기, 무릎으로 걷기, 모서리 걷기나 갑자기 정지하는 것은 못하고, 도움없이 서 있고, 공을 바로 던지지 못합니다.
3. 미세운동
계속적으로 물건을 마루로 던지며, 2단 전목을 쌓고, 한 손에 2개의 적목을 집게되고, 작은 공을 좁은 병에 넣게되고, 컵은 잘 사용하나 숟가락 사용은 미숙합니다.
4. 감각
기하학적 형태를 알 수 있고 둥근 물건을 적절한 구멍에 넣어도 보고, 양안시력이 발달하며, 흥미있는 그림에 오랫동안 몰두하기도 합니다.
5. 언어
중얼중얼 하고, 이름을 포함하여 4-6개 단어를 사용하게되고, 물건을 가르키면서 묻기도 하며, 간단한 명령을 이해합니다.
거부의 뜻으로 머리를 젖기도 하며 지시를 수긍하면서도 아니라고 표시합니다.
6. 사회화
부모로 부터 잠시 분리되어도 참으며 낯선 사람에 대한 공포감이 줄어들고, 집안청소나 옷을 접는 등 부모를 흉내 냅니다.
병을 비울 수 있으며, 숟가락을 다루지만 미숙하고, 부모에게 입맞추거나 껴안고 책 그림보고 입맞추고 감정을 표현하고 분노에 발작하게 됩니다.
▣ 이렇게 해주세요!
거부증이나 의식적 습관같은 유아기의 행동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해야 하며, 현재의 수유습관을 점검하며 젖병 사용을 점차 줄이고 단단한 음식을 증가시키는것이 좋습니다.
생리적 식욕부진, 편식에 대비하여 식사시간 동안 견딜 수 없고, 식사예절이 부족하므로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충치의 가장 큰 원인인 잘 때 젖꼭지를 물고 자는지, 잠들 때 보채는지 잠버릇을 점검하고, 자동차, 중독, 추락사고 등 집안의 위험에 대비하여 집에 안정장치를 하도록 합니다.
부드러운 훈육, 거부증이나 분노발작을 다루는 기술에 대해 소아과의나나 다른엄마와 의논해보시고, 적절한 훈육의 장점을 알아두시고, 아동과 부모 모두 잠깐 동안의 주기적인 격리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운동, 언어, 인지, 사회적인 기술을 발달시키는 새로운 장난감에 대해 토의하고, 치과의사의 진찰 및 검진, 집에서의 구강위생, 충치를 유발하는 식습관을 알아두시고, 적절한 시기에 불소의 투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