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y-건강백과 -여성건강

여성에 흔한 질병 - 유방암 조기발견

뱅베 2025. 6. 25. 09:51

▣ 유방암이란?

일반적으로 암(癌)이란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으로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는 매우 규칙적으로 통제받는 분열을 하여 몸을 성장시키거나 손상된 조직을 복원하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든지 세포가 이와 같은 몸의 정상적인 통제체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분열하여 '종양(腫瘍;tumor 또는 neoplasm)'이 라고 부르는 혹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중 어떤 종양세포는 주위의 조직이나 혈관 또는 임파관을 파괴하고 침입하여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져나갑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다시 자리를 잡고 자라면서 주위 조직을 또다시 파괴합니다. 이와 같이 종양세포가 퍼져나가는 현상을 전이(轉移;metastasis)라고 부르며, 전이 할 수 있는 종양세포로 구성된 혹을 암(癌;cancer) 또는 악성종양(惡性腫瘍;malignant tumor)이라고 부릅니다.

악성종양의 상대개념은 양성종양(良性腫瘍;benign tumor)인데, 이들은 성격이 온순하여 퍼져나가지 않고 생긴 그 자리에서만 자랍니다.

반면 악성종양의 세포는 통제를 벗어나서 신체의 어디든지 퍼져나갈 수 있으며 다른 조직을 마구 침입하여 파괴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치료를 하지 않고 놓아두면 결국에는 생명을 위협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방암에 대해서 수많은 연구업적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확실한 예방법이 세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것을 발생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길만이 완치효과를 얻어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 유방암 자기 검진법

성인 여성이라면 유방암으로부터 본인의 생명과 여성미를 보호하기 위해 자기 유방을 수시로 면밀히 관찰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자주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면 작은 1cm 전후의 혹도 찾아낼 수 있는데, 이때는 암이라 해도 암의 4단계 중 1기(期)로서 거의 완치가 가능하며 치료과정도 훨씬 수월합니다.

작은 암은 퍼져나가 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독한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가 없이 간단하고도, 유방을 보존할 수 있는 수술이 가능합니다.

유방 자기관찰의 원리는 평소 자기 유방의 상태나 생리에 따른 변화에 익숙해져서 새로운 변화의 출현을 재빨리 감지해 내는 데 있으며, 오랫동안 자기 유방을 관찰하여 상태를 잘 알고 있는 경우라면 불필요한 많은 조직검사를 피할 수도 있습니다.

유방 자기검진은 특히 외과전문의를 만날 수 없는 경우나 유방특수촬영시설이 없는 경우에 최소한의 대비책으로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다음 생리기간을 지나면서 그 소견의 변화를 관찰해 봄으로써 외과전문의가 진단에 참고할 수 있는 많은 정보를 얻어낼 수가 있습니다.

①거울에 비춰보는 법

손을 양허리에 두고 각 유방의 크기, 모양, 피부에 주름진 곳이 있는지 혹은 움푹들어간 곳은 없는지, 표면상태가 변화한 곳은 없는지 살펴봅니다. 이때 유두를 짜서 유즙이 나오나 확인합니다. 같은 관찰을 손을 머리에 두고, 차렷 자세에서 반복합니다.

② 손가락으로 진찰하는 법

손가락을 편평히 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바깥에서 유두 방향으로 원을 그려가며 부드럽게 진찰합니다.

③ 샤워할 때 검진하는 법

한쪽 팔을 올리고 다른 쪽 손으로 반대편유방에 멍울이나 두꺼워진 소견이 있나 만져 봅니다. 왼손으로 오른쪽 유방을 오른손으로 왼쪽 유방을 진찰합니다.

④ 누워서 검진하는 법

왼쪽 어깨 밑에 베개를 두고 왼손을 머리에 괴고 오른손으로 왼쪽 유방을 진찰합니다. 자세를 바꾸어 왼손으로 오른쪽 유방을 진찰합니다.

⑤ 탁자에 손을 기대고 검진하는 법

한쪽팔을 탁자위에 올려놓은 후 다른손으로 겨드랑이 부위를 진찰합니다. 암이 겨드랑이의 임파절로 퍼진 경우 멍울을 만질수 있으며 겨드랑이 부위에도 유방 조직이 있기때문에 이부분도 진찰을 해야합니다.


▣ 전문의에 의한 검진

유방암의 진단은 전문의만이 내릴 수 있으므로 유방암에 의한 혹과 소위 '양성유선증'에 의한 혹은 만져만 봐서는 식별 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외과전문의(外科專門醫)에 의한 자세한 상담과 면밀한 진찰 후에 정밀검사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