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y-임신 플러스 정보

임신을 계획 하시면 - 환경호르몬에 주의하세요!

뱅베 2025. 6. 24. 15:28

▣ '환경호르몬' 성교란 주범

유산방지제 DES성분 복용 임산부 불임, 음경발달 부진 초래

컵라면, 통조림, 화장품, 완구류, 각종 농수산물, 젖병, 음료수캔, 담배, 식품포장재, 죽염 등은 지금까지 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된 제품 및 식품이다. 이처럼 흔히 환경호르몬이라 불리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은 이미 생활 깊숙이 침투해 있고, 우리의 생명을 끊임없이 위협하고 있다.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은 생명체의 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에 영향을 주는 합성 혹은 자연상태의 화학물질을 말하며 흔히 환경호르몬이라 불린다. 지금까지 알려진 환경호르몬은 세계생태보전기금(WWF)분류로 67종이며, 일본 후생성에서 143종, 미국에서 73종의 화학물질을 규정하고 있다. 환경호르몬은 지난 96년 미국에서 출판된 <잃어버린 미래(Our Stolen Future)>라는 책을 통해 세인의 관심을 끌게 됐다.

환경호르몬의 종류를 한가지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다이옥신과 PCB, DDT, 프탈레이트, 기타 농약이 해당되며, 식품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혹은 합성수지 제조에 필요한 가소제, 황산화제 등이 환경호르몬 범주에 들어간다. 그 밖에 에스트로젠 기능약물, 식물에서 생산되는 식물성에스트로젠 등이 포함된다.

환경호르몬은 생체내에 합성되는 호르몬과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또 생체에 들어올 경우 배출되지 않고 생체내에 잔존하며 심지어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즉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된다.

이들 환경호르몬은 생태계 및 인간의 생식기능저하, 기형, 성장장애, 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추정되며 생태계 및 인간의 호르몬계에 영향을 미쳐 전세계적으로 생물 종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참고: 국내에서 처방되는 유산방지제(듀파스톤)의 주의사항,부작용>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 중증의 간장애, 간질환, 간 종양(존재 또는 병력), Dubin-Johnson 증후군, Rotor증후군, 황달이 있는 환자
- 심각한 가려움증,담즙분비중지의 황달, 임신성 포진, 포르피린증, 이경하증환자,(이 질환은 성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임신 중 또는 성호르몬 투여중에 발생하거나 더 악화 된다.)
- dydrogesterone 과민증 환자

2) 부작용
(1) 과민증 : 발진, 가려움증, 알러지성 피부반응 등의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약을 중지한다.
(2) 간 장 : 드물게 간기능의 이상(간기능 수치의 변화 , 황달(드물게)이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여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전해질 대사 : 드물게 부종, 체중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여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휴약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위 장 : 때때로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5) 정신신경계 : 드물게 두통, 편두통, 졸림, 기분저하, 신경과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3) 임부에 대한 투여
항체 호르몬제의 사용과 선천이상아출산과의 인과관계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역학조사 결과에 의하면, 심장, 사지 등의 선천 이상아를 출산한 산모와 대조군 사이에는 임신초기 항체 및 항체난포 호르몬제 사용 비율에 있어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또한 본제의 사용이 여성 태아의 외부 생식기 남성화, 남성태아의 요도하열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임신초기 4개월 동안에는 치료상의 유익 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는 의사의 판단이 있을 경우에만 사용한다.